늦가을에 접어들면서 낮과 밤의 기온차가 커서 갑작스러운 심혈관질병의 위험도 높아진다. 의사는 활동 중에 가슴 답답함, 흉통, 두근거림, 하지부종 및 원인불명의 피로감, 숨가쁨, 또는 입꼬리 비뚤어짐, 언어 불명확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지속적으로 완화되지 않으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생, 심인성 뇌경색, 심부전 등은 모두 심혈관질병의 범주에 속한다.” 녕하의과대학총병원 심내과 주임의사 왕경정은 기온이 내려가면서 혈관이 쉽게 수축되고 경련이 일어나 혈압이 상승하고 심장의 부담이 상승한다고 말했다. 이외 수분을 제때에 섭취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가을보양식’을 섭취하고 감정기복이 심한 경우 모두 심혈관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심혈관질병환자와 심혈관질병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들은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 의사는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기온변화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옷을 증감하고 악천후에는 외출을 줄이며 머리, 목, 배, 발 등 부위가 차지 않게 해야 한다. 균형 잡힌 식단에 주의를 돌리고 염분, 기름 설탕이 적은 식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산책이나 태극권을 하는 등 적절한 운동을 하고 실외 기온이 낮으면 실내에서 운동할 수 있다. 수분을 적당히 보충하되 소량의 물을 여러번 마시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 평화롭고 락관적인 마음가짐을 유지해야 한다.
왕경정은 “기존에 혈당, 혈압, 혈중지질 이상이 있었다면 이러한 지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며 뚜렷한 변동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하고 약물을 스스로 증감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의사는 다음과 같이 당부했다. 관상동맥질환환자는 의사의 지도하에 항혈소판제를 사용하여 혈전증을 예방하고 스타틴계 약물을 사용하여 혈전을 안정시키고 혈중지질을 낮출 수 있다. 병세가 심각한 환자는 전문의가 관상동맥병변의 심각성을 평가하고 심장기능 개선조치를 취해 예후효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래원: 인민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