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중국 해양경제 통계 공보'에 따르면 지난해 해양경제의 경제총량은 10조 5,438억원으로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전년 대비 5.9% 증가한 수치로,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8%다.
석수상 국가해양정보쎈터 주임은 최근 수년간 우리 나라의 해양경제가 새로운 방향으로 긍정적인 발전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시장 활력도 꾸준히 분출되면서 우리 나라 연해 지역은 해양경제 구도를 빠르게 구축해나가고 있다.
상해는 앞서 <상해시 해양산업 발전 계획(2025—2035)(의견 수렴안)>을 발표하며 2035년까지 해양경제 종합 실력이 전 세계 연해 도시중 상위권으로 올라서 국제적인 현대 해양 도시를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절강성은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성급 해양경제발전청을 설립했다. 절강성은 지역 실정에 맞춰 해양 분야의 신질생산력을 발전시키고 전 지역의 해양 생산액이 지역 GDP 성장률보다 1%포인트 높아지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한 해양경제 분야에서 2,200억원 이상의 프로젝트 투자를 실현할 방침이다.
광동성 해양경제업무회의에서는 해양 신에너지, 해양 공정 장비, 해양 바이오의약 등 해양 신흥산업과 미래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확대하는 것을 제시했다.
산동성 역시 현대 해양경제 발전의 고지 조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산동성은 륙지와 바다를 통합 련계하고 선도형 현대 해양 도시 건설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신화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