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인간》은 18년째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자신의 경험을 녹여낸 일본의 녀성 작가 무라다 사야까의 자전적 소설이다.
련애 한번 못해보고 대학졸업 후 취직 한번 못한 채 18년이나 같은 편의점에서 알바를 하고 있는 36살의 주인공, 후루꾸라 게이꼬, 계속 바뀌는 알바생들을 배웅하면서 여덟번째 점장과 일하고 있는 게이꼬는 매일 편의점 음식으로 끼니를 때우고 정해진 메뉴판 대로 정리된 편의점 풍경과 “어서 오십시오!”라는 구호에서 마음의 평안과 정체성을 얻는다.
하지만 적당한 나이에 일을 얻고 가정을 꾸린 주위 사람들의 수군거림에서 게이꼬는 자유로울 수 없다. 편의점을 핑게 삼아 ‘보통 인간’인 척 살아가던 그녀도 36살이 되자 더 이상 ‘편의점 알바생’으로는 정상적인 인간인 척 살아가기 어려워진다. 련애도 결혼도 하지 않고 변변한 직업 한번 가져본 적 없는 그녀를 ‘비정상’이라 의심하는 사람들에게 더 이상 지병이나 집안 사정 핑게가 통하지 않게 된 것이다. 그런 그녀 앞에 백수에 월세에 밀려 살던 집에서도 쫓겨나고 항상 남 탓만 하는 무뢰한, 시라하가 나타나면서 가지런히 진렬된 편의점 매대와 같던 그녀의 일상이 어질러지기 시작한다…
“나는 편의점 알바로 태여나면서 비로소 세계의 부품이 될 수 있었다.”
이 소설의 주인공 게이꼬 역시 이런 세상의 요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평범한 집안에서 태여나 어린시절 다양한 일을 겪으며 본인이 다소 이상한 아이라는 걸 깨달은 게이꼬는 대학 1학년 때 편의점 알바를 시작하며 처음으로 정산적인 ‘세계의 부품’이 되는 순간을 맞이한다. 그 이후로 18년째 같은 편의점에서 알바중인 그녀는 ‘편의점의 소리’가 자기 안에 새겨진 듯 여기고 꿈속에서도 편의점 계산기를 두드린다. 게이꼬는 편의점 안 자신을 가게의 일부처럼 여긴다.
“나를 아는 모든 사람으로부터 나를 숨겨줘요.”
“모두가 이상하게 여기는 부분을 내 인생에서 소거하고 싶어요.”
시라하는 35살 먹은 대학 중퇴자에, 입만 열면 세상 탓이나 하는 꼴불견이다. 그나마 ‘결혼 활동’을 위해 시작했다던 편의점 알바도 몇주 만에 잘릴 만큼 무능력하기까지 하다. 잘린 편의점 근처에서 다른 녀자를 뒤따르다가 마주친 게이꼬에게 제 주제도 모르고 “그 나이에 편의점 알바나 하는 밑바닥 인생”이라며 폭언을 퍼붓는 시라하, 하지만 묘하게 닮은 듯한 둘은 보통 인간이 아니면 무례하게 간섭하는 사람들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동거를 시작한다.
시라하는 단지 사회의 규격에 맞추지 않았다고 해서, 게이꼬는 편의점 알바로 계속해서 보통 인간인 척하며 살기 위해 동거를 시작했지만 동거 이후의 삶은 록록치 않다. 끊임없이 보통 인간이 되기 위해 애쓰는 그들 앞에 사람들은 계속해서 평균적인 인간의 규격에 맞추라고 강요한다.
저자 사야까는 이 기묘한 동거와 사람들의 강요를 우습강스럽게 그려내면서 우리에게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도 이 같은 질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집외에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이라는 ‘편의점’이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마치 감시카메라로 지켜보는 듯한 극사실주의로 묘사된 우리네 삶을 보고 있노라면 그야말로 ‘웃픈’(웃음+슬픔) 실소가 흘러나온다.
우리가 사는 방법은 다양하고 다채롭다. 이런 삶도 있고 저런 삶도 있다. 우리는 모두 서로 전염시키며 ‘보통 인간’인 척 살아가고 있다.
《편의점 인간》은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무엇으로 구분하고 정의할 것인지에 대한 화두’를 던지는 작품이다. 어떤 나이가 되면 이루어야 하는 것들, 이를테면 취업과 결혼, 그 이후에는 출산과 육아, 내 집 마련 등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보통 인간’이 되기 위한 수많은 규격을 마주한다. 그 규격에 맞추기 위해 세상이 요구하는 매뉴얼 대로 서로를 흉내 내고 때론 거짓말도 하며 ‘보통 인간’인 척하며 살아간다.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에는 남들의 수근거림과 손가락질 그리고 비난과 따돌림을 고스란히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련애, 출산, 결혼 세가지를 포기한 ‘삼포’세대조차 이미 사어가 되여버린 오늘, 정상과 비정상의 기준, 쓸모 있는 것과 없는 것, 배제된다는 것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한다.
또한 단순히 18년차 편의점 알바생의 삶을 다룬 이야기가 아니라 사회와 개인, 정상과 비정상, 규범과 자유 사이에서의 갈등을 그리며 우리가 놓치고 있는 가치있는 삶의 방식을 조용히 일깨워준다.
저자 사야까는 어린시절 ‘이야기’의 힘을 빌리지 않고는 도달할 수 없는 곳에 가보고 싶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던 그가 《편의점 인간》으로 2016년에 이 시대의 초상을 독특하고 재치 있게 담아냈다는 극찬을 받으며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순수문학상인 아꾸다가와상을 수상했다. 시상식 당일에도 “오늘 아침에도 편의점에서 일하다 왔다.”며 “내게 성역 같은 곳인 편의점이 소설의 자료가 될 줄은 몰랐는데 이렇게 상까지 받았다.”는 수상소감을 전하기도 했다. 출간 직후 일본 아마존 문학 부문 1위에 올라 현재까지 베스트셀러 자리를 굳게 지키고 있다.
일본에서만 100만부 이상 판매되며 무라다 사야까 신드롬을 일으켜 30여개 언어로 번역되는 등 현대 일본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수상은 이례적으로 문단 뿐만 아니라 언론을 비롯한 일본 전역까지 술렁이게 했다. 저자의 독특한 리력에 더하여, ‘편의점’이라는 현대를 대표하는 공간을 배경으로 날카로운 현실 묘사와 유머 넘치는 풍자가 한데 어우러진 뛰여난 작품성이 모두의 이목을 사로잡은 것으로 보인다.연변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