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28일은 제13회 ‘세계 간염의 날’이다. 올해의 주제는 ‘조기 예방을 견지하고 검사와 발견을 강화하며 항바이러스 치료를 표준화하자.’이다.
우리나라는 간염 대국으로서 간염은 대중들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다.
◆간장의 역할
간장은 소화를 돕는 담즙을 분비함으로써 위장관의 음식물 소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글리코겐을 저장하고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을 조절하는 등 대사를 조절하고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조혈기능이 있는데 특히 혈액응고인자는 대부분 간에서 합성된다. 이밖에도 간장은 해독작용이 있다. 체내에서 발생하는 독물, 노페물, 그리고간 질환은 말 그대로 간장에서 해독된다.
◆간질환이란
간질환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원인으로부터 볼때 바이러스성 간염, 중독성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은 우리가 말하는 전염성 간염이며 이밖에도 중독성, 약물성 모두 간질환을 일으킬 수 있고 일부 페쇄성도 간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간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은 바이러스성 간염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말하는 간질환은 사실 바이러스성 간염을 말한다. 예를 들면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T형 간염, 그리고 D형 간염 등이다.
◆간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1)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
간염 질환은 경과가 길고 치료의 난이도가 높아 일과 공부에 영향을 미치고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질병의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
(2)정상생활에 영향 주어
간염은 전신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정상적인 공부와 업무에 많은 불편을 줄 수 있다.
(3)간 손상
간염은 환자의 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효과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면 간경변이나 만성 간염으로 발전하여 환자의 간 건강을 손상시켜 간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
(4)다른 장기 조직 영향
간염은 주변 장기 조직을 침범하여 국소 조직 장기에 병변이 생기고 심할 경우 당뇨병, 지방간, 다발성 신경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간염 바이러스를 예방법
일반적으로 간염 예방접종은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며 신생아는 일반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을 실시하며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 사람도 즉시 예방접종을 실시하여 나쁜 요인에 의해 전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주사, 귀구멍, 문신 등 트라우마를 일으킬 수 있는 수술에 대해서는 표준화된 장소에 가서 주사바늘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염되지 않도록 한다.
의사, 간호사 등 직업 로출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근무 중 보호에 주의하고 평소에는 작업 안전 규범에 주의하며 작업 중 장갑을 착용하여 바늘에 찔리는 것을 피하고 부주의로 다치면 무균 드레싱으로 덮을 수 있어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출처: 연변일보